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DFS
- cos pro
- DFS와BFS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코딩테스트
- 백준
- 안드로이드
- vuejs
- 코테
- Python
- 개발
- 코드품앗이
- AndroidStudio
- C++
- issue
- DART
- BAEKJOON
- Algorithm
- 동적계획법과최단거리역추적
- cos pro 1급
- 알고리즘
- 동적계획법
- django
- 분할정복
- codingtest
- Flutter
- docker
- android
- 파이썬
- cos
- Today
- Total
목록TroubleShooting (56)
Development Artist

서론EKS 환경에서 배포되어 운영 중인 ArgoCD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에서 argocd-notifications-controller 파드안의 컨테이너 하나가 계속해서 restart 되고 있는 현상이 발견되었다.해결하기간단한 확인일단 파드의 이벤트를 확인한다. kubectl describe pod argocd-notifications-controller-79f4bf5bdd-5zjtn -n argocdEvents: Type Reason Age From Message ---- ------ ---- ---- ------- Warning BackOff 4s (x131454 over 2d) kub..
문제 상황nvidia-smi 명령어를 쳤을때 에러 출력이 발생함초기 점검1. lspci 명령어 실행 결과# lspci -vv -s 01:00.001:00.0 VGA compatible controller: NVIDIA Corporation TU104 [GeForce RTX 2080 Rev. A] (rev ff) (prog-if ff) !!! Unknown header type 7f Kernel driver in use: nvidia Kernel modules: nvidiafb, nouveau, nvidia_drm, nvidiaUnknown header type 7f가 표시됨.Kernel driver in use: nvidia로 나오지만,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음.2..
이슈ArgoCD에서 다음과 같은 Event Log 확인.error killing pod: failed to "KillPodSandbox" for "5434cdfd-cb12-45b8-980d-a1e1bcd5fb09" with KillPodSandboxError: "rpc error: code = Unknown desc = failed to destroy network for sandbox \"63901cdb6345abd4541257c68a19b517e4cb43aee13603648757ac1af89a4720\": plugin type=\"calico\" failed (delete): error getting ClusterInformation: connection is unauthorized: Unauthor..
상황 발생0/3 nodes are available: 3 node(s) didn't match pod anti-affinity rules. preemption: 0/3 nodes are available: 3 No preemption victims found for incoming pod. Failed to create pod sandbox: rpc error: code = Unknown desc = failed to setup network for sandbox "[SandBox]": plugin type="calico" failed (add): error getting ClusterInformation: connection is unauthorized: Unauthorized Successfully ..
들어가며파이썬에서 CPU 병렬 처리를 활용하려면 multiprocessing 모듈이 필수. multiprocessing은 데이터를 프로세스 간에 전달하기 위해 직렬화(Serialization)를 사용하며, 이는 파이썬의 pickle 모듈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클래스 객체나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다룰 때는 직렬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직렬화/역직렬화의 기초부터 멀티프로세싱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 방법까지 알아보자. 직렬화와 역직렬화란?1.1 직렬화(Serialization)직렬화란 파이썬 객체를 바이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파일에 저장하거나, 프로세스 간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1.2 역직렬화(Deserialization)역직렬화는 바이..

이슈엘라스틱서치 실습 중 "./bin/elasticsearch" 명령어 실행 시 아래와 같은 이슈 발생.Unrecognized VM option 'UseConcMarkSweepGC’. Error: Could not create the Java Virtual Machine. Error: A fatal exception has occurred. Program will exit.- 엘라스틱서치 클러스터가 UseConcMarkSweepGC 옵션을 사용하려고 하지만, 만드려는 Java 가상 머신 옵션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옵션이기 때문에 엘라스틱서치 클러스터를 만들 수 없다고 한다.해결일단 몇 가지 접근 방법이 있을 것 같다. UseConcMarkSweepGC 옵션은 config/jvm.options 파일에 기본적..

이슈 User 관련 회원가입 API를 만들고 테스트하는 중 API를 날리면 다음과 같이 Response가 오는 것을 확인. 해결 1안 또는 2안 중 채택하여 해결. 1. 해당 DTO의 생성자 생성 @AllArgsConstructor @Getter public class UserJoinRequest {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String password; public UserJoinRequest() {} } 2. lombok을 사용한다면, @NoArgsConstructor 애노테이션 붙여준다. 원인 - 아래와 같이 UserJoinRequest의 생성자가 없어서 발생한 문제였다.

이슈 토비의 스프링을 공부하던 중, Tomcat에서 Jetty로 변경하는 코드를 똑같이 썼음에도 다음과 이슈 발생. 2023-08-19T17:21:24.316+09:00 INFO 55221 --- [ main] j.s.helloboot.HellobootApplication : Starting HellobootApplication using Java 20.0.1 with PID 55221 (/Users/jeongmokhwang/jmcunst/study/spring-boot/helloboot/out/production/classes started by jeongmokhwang in /Users/jeongmokhwang/jmcunst/study/spring-boot/helloboot) 2023-08-19T17..

이슈 Cnetos 7 OS 설치 후 'yum update' 명령어 실행 시 다음과 같이 에러 발생. 해결 1. ping 8.8.8.8 정상 동작하는지 2. nmcli d 에서 정상적으로 Device가 붙어 있는지 확인하기. 3. cat /etc/resolv.conf 에 nameserver가 들어있는지 없다면 3.1. # vi /etc/resolv.conf nameserver 8.8.8.8

이슈 Centos 7 OS 설치 후 git을 yum으로 설치하는 중에 다음과 같은 에러 발생. "Error downloading packages: ~ " "[Errno 256] No more mirrors to try" 해결 yum clean all yum update -y Additional yum update 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면, 아래 링크들을 참고해보자. https://jmcunst.tistory.com/274 [Issue, Linux, AWS] Loaded plugins, can't work YUM. one of the configured repositories failed (Unknown) 이슈 1. Private Subnet에 있는 EC2 서버에서 yum 명령어로 패키지를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