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os pro
- 코테
- DFS
- BAEKJOON
- 동적계획법
- DART
- 파이썬
- 분할정복
- 안드로이드
- Algorithm
- 코딩테스트
- cos
- issue
- AndroidStudio
- Python
- Flutter
- cos pro 1급
- 백준
- codingtest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개발
- 코드품앗이
- 동적계획법과최단거리역추적
- vuejs
- DFS와BFS
- 알고리즘
- C++
- django
- android
- docker
- Today
- Total
목록아이디어 (3)
Development Artist

'오감일기' 개발 개발 초기에 들어서면서 mockup해 두었던 것과 실 개발단에서 오감의 컨셉에 대해 팀내의 의문이 제기 되었다. 내용응 즉슨, 해쉬태그 기능이 들어가게 되면서 오감이라는 것이 정확히 어떤 것을 기대할 수 있는가였다. 그리고 일기의 대부분이 여러가지 감정들을 복수로 가질 가능성이 높고, 감각 별로 차이가 나는 결과값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였다. 결국, 오감이라는 컨셉 자체가 희미해지고, 심지어 대체재로 해쉬태그의 기능이 강력한 만큼, 이것을 구현하는 것에 납득할만한 근거를 찾지 못하였다. 이것에 대한 답을 구하지 못하자, 오감일기의 이름을 그대로 가져갈 필요가 없음으로 판단하고, '오감일기' 아이디어를 엎게 된다. 새로운 아이디어로 더 좋은 것으로 다시 시작하려고 한다.

아이디어 회의를 거치고 선정된 '1인 코스 추천' 에 대한 세부적 논의 중 새로운 컨셉 추가 이 아이디어의 목적은 혼자 활동하는 1인에게 혼자서도 즐길 수 있는 정보들을 제공한다. 하지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정제와 기준들이 필요하다. 우리는 그런 정보들의 정제 및 제공과 더불어, 유저들끼리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하나의 문화로 만들어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데이터 형식 '어떤식으로 데이터를 형성 할 것인가' 에 대한 논의 : 일기 같이 유저가 일기장 형식으로 하루 일기를 쓰고 공유하는 방식으로 가면 어떨까, '일기장' 형식의 데이터 구조를 짜자! 데이터 형식의 차별화 (특별함) '일기장'의 컨셉으로 가는 것은 정해졌다. 그렇다면, 보통 일반적인 일기장의 형식인 제..

코드품앗이 1기 첫 번째 프로젝트 'single course' 실제 슬랙에서 내가 공유했던 것을 블로그에 옮겨와 보고자 한다. 2021-02-18, 안녕하세요, JMCunst(정목) 입니다. 잠깐 아이디어의 방향성에 대해서 고민을 해 보았습니다.우리(서비스 런쳐)가 제공할 정보에는 한계가 있다. (맛집, 공원, 주점, 카페의 api데이터 or 크롤링 데이터) 그것을 인정한다면, 유저들이 서로 정보를 만들고 공유해나가는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이 방향이 서비스를 지속할 힘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 방향으로 진행한다고 가정해보자.서비스는 어떻게? 유저들 중에서도 정보를 만들어서 공유를 활발히 하는 유저 가 있을 것이고, 단순히 정보를 얻고자 하는 유저 가 있을 것이다.비율로 보았을 때, 공유를 활발히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