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DFS
- 개발
- 코드품앗이
- 알고리즘
- Flutter
- cos pro
- django
- 동적계획법
- 파이썬
- cos pro 1급
- codingtest
- 안드로이드
- 백준
- 코테
- AndroidStudio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C++
- vuejs
- 동적계획법과최단거리역추적
- DFS와BFS
- Vue
- 분할정복
- cos
- android
- Algorithm
- DART
- BAEKJOON
- Python
- issue
- 코딩테스트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DB Modeling (1)
Development Artist

ERD ( Entity Relationship Diagram ) ERD 설계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백엔드 개발자로써, 정말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이 든다. 특히 이번에 MSA 구조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다수의 DB와 다수의 테이블들을 보았을 때 ERD가 있는지 부터 찾게되었다. ERD 설계를 잘 해놓았다면, 전체 구조와 테이블들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이였다. 이번 개발을 통해서, ERD를 조금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추가적으로, RDBMS과 NoSQL에 따라 모델링 순서의 차이가 있다. 우선, RDBMS를 모델링 할때는 도메인 분석(ERD)->테이블 추출->쿼리 순서인데, NoSQL의 경우에는 도메인 분석(ERD)->쿼리->테이블 순이다. NoSQL..
Project_Personal
2022. 1. 13. 2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