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Algorithm
- 백준
- Python
- vuejs
- 알고리즘
- 코테
- DFS와BFS
- 코드품앗이
- C++
- cos pro 1급
- 동적계획법과최단거리역추적
- django
- issue
- 파이썬
- 동적계획법
- 분할정복
- AndroidStudio
- Flutter
- 안드로이드
- 코딩테스트
- DART
- DFS
- cos
- docker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android
- cos pro
- 개발
- BAEKJOON
- codingtest
- Today
- Total
목록Ajou (6)
Development Artist

도입 첫 번째 토이 프로젝트가 무산이 되고, 어느 덧 개강을 하였다. 개강과 동시에 이번 두번째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어서 부담이 조금 더 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첫 번째 프로젝트를 했을 때의 문제점들을 보강하고 인원들도 보충을 하였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디자인 파트를 따로 만들어 디자인과 학부생들과 함께 할 예정이다. All in One 다이어리 다이어리를 잘 사용하는 사람들은 보통 하나의 다이어리만을 사용하지 않는다. 종류별로 여러개의 다이어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스케줄러만 하더라도 여러 스케줄러를 두는 경우도 있고, 운동다이어리, 가계부 등의 용도가 다른 다이어리들을 추가적으로 두기도 한다. 이렇게 사용하는 다이어리의 수가 많아 질 수록 관리도 힘들고 또한 수기로 작성하는 다이어..

'오감일기' 개발 개발 초기에 들어서면서 mockup해 두었던 것과 실 개발단에서 오감의 컨셉에 대해 팀내의 의문이 제기 되었다. 내용응 즉슨, 해쉬태그 기능이 들어가게 되면서 오감이라는 것이 정확히 어떤 것을 기대할 수 있는가였다. 그리고 일기의 대부분이 여러가지 감정들을 복수로 가질 가능성이 높고, 감각 별로 차이가 나는 결과값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였다. 결국, 오감이라는 컨셉 자체가 희미해지고, 심지어 대체재로 해쉬태그의 기능이 강력한 만큼, 이것을 구현하는 것에 납득할만한 근거를 찾지 못하였다. 이것에 대한 답을 구하지 못하자, 오감일기의 이름을 그대로 가져갈 필요가 없음으로 판단하고, '오감일기' 아이디어를 엎게 된다. 새로운 아이디어로 더 좋은 것으로 다시 시작하려고 한다.

아이디어 회의를 거치고 선정된 '1인 코스 추천' 에 대한 세부적 논의 중 새로운 컨셉 추가 이 아이디어의 목적은 혼자 활동하는 1인에게 혼자서도 즐길 수 있는 정보들을 제공한다. 하지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정제와 기준들이 필요하다. 우리는 그런 정보들의 정제 및 제공과 더불어, 유저들끼리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하나의 문화로 만들어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데이터 형식 '어떤식으로 데이터를 형성 할 것인가' 에 대한 논의 : 일기 같이 유저가 일기장 형식으로 하루 일기를 쓰고 공유하는 방식으로 가면 어떨까, '일기장' 형식의 데이터 구조를 짜자! 데이터 형식의 차별화 (특별함) '일기장'의 컨셉으로 가는 것은 정해졌다. 그렇다면, 보통 일반적인 일기장의 형식인 제..

코드 품앗이 첫번째 아이디어 관련 두 번째 회의 안건 : 아이디어 논의 및 선정 프로젝트를 시작함에 있어 어떤 내용을 가지냐에 따라 필요한 요소들이 각기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이것에 대한 논의가 프로젝트 시작에 앞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코드품앗이 프로젝트 첫 번째 프로젝트인 만큼, 신중한 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였다. 예전에 학교수업 중 '실전코딩1'에서 라이엇 현직 개발자 분들과 진행했던 아이디어 논의 방법을 차용하여 이번에 적용시켜 보기로 하였다. 또한, '집중교육2'에서도 이 방법을 차용해서 효과를 본 적이 있어서, 이번에 이것을 그대로 적용 시켰다. 회의는 Zoom을 통해 진행하였다. 회의 전 미리 Google Drive로 문서를 공유한 뒤 각자 대략 5일 정도 각자의 아이디어를 업로드 하..

Ps, Ai 툴들의 사용하는데 있어서, 늘 만드는 것에 관심이 많아 이것저것 단축키도 배우고 어느 정도 다룰 줄은 알지만, 미적 감각의 부재로 인한 심각한 결과물을 도출할 가능성이 있어, 인터넷 상의 여러 무료 제작 사이트를 활용하기로 하였다. 일단은 간단하게 느낌만 따고 나중에 전문 아티스트(미래의 필자?)가 작업하여 새로 로고 및 아이콘을 제작하려 한다. 일단 무료 로고 제작 사이트를 이용하였다. https://hatchful.shopify.com Hatchful | Your digital logo designer Create stunning logos in seconds - no design skills required! hatchful.shopify.com 최종 후보 1, 2안 아이콘은 무료 아이..

나의 出恖表(출사표) != 出師表 아주대 소프트웨어학과 4학년... 이제 졸업까지 1년 남은 시점, 과연 나는 어떤 것을 해야 의미있는 1년을 보낼 수 있을까... 방학 때 하는 거라고는 코딩 테스트 준비로 백준 알고리즘 풀이가 전부... 1일 1커밋을 실행하려고 노력 중... 지루하기 짝이 없는 하루들의 반복. 그러다 문득 심장이 뛰는 것을 생각하게 되었으니, 그것이 바로 이름하여 "코드품앗이" 프로젝트. 늘 그렇지만, 시작은 설렘이다. 첫 입학, 첫 군대, 첫 프로젝트. (첫 사랑?) 학교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는 꾀 있었다. Autosar의 자동차 SW 프로젝트, Riot 개발진들과의 멘토링, Hotpler 프로젝트. 하지만, 내가 자의적으로 이렇게 프로젝트를 구성해 보는 것은 처음이다. 그래서 더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