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
- Python
- cos pro
- 코딩테스트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백준
- 코드품앗이
- vuejs
- cos pro 1급
- Algorithm
- 파이썬
- django
- 동적계획법과최단거리역추적
- 동적계획법
- DFS와BFS
- AndroidStudio
- 안드로이드
- Vue
- DFS
- android
- 개발
- codingtest
- DART
- 분할정복
- Flutter
- BAEKJOON
- cos
- 알고리즘
- issue
- 코테
- Today
- Total
목록k8s (5)
Development Artist
이슈ArgoCD에서 다음과 같은 Event Log 확인.error killing pod: failed to "KillPodSandbox" for "5434cdfd-cb12-45b8-980d-a1e1bcd5fb09" with KillPodSandboxError: "rpc error: code = Unknown desc = failed to destroy network for sandbox \"63901cdb6345abd4541257c68a19b517e4cb43aee13603648757ac1af89a4720\": plugin type=\"calico\" failed (delete): error getting ClusterInformation: connection is unauthorized: Unauthor..
상황 발생0/3 nodes are available: 3 node(s) didn't match pod anti-affinity rules. preemption: 0/3 nodes are available: 3 No preemption victims found for incoming pod. Failed to create pod sandbox: rpc error: code = Unknown desc = failed to setup network for sandbox "[SandBox]": plugin type="calico" failed (add): error getting ClusterInformation: connection is unauthorized: Unauthorized Successfully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7KHE7/btrUnd5JTjz/Cliex3hfC2WJQpRwNmOnmK/img.png)
이슈 'yum install -y kubelet kubeadm kubectl --disableexcludes=kubernetes' 명령어로 kubelet, kubeadm, kubectl을 설치 후, 'systemctl enable --now kubelet' 명령어 실행. 이후 'systemctl status kubelet' 명령어 수행. kubelet 서비스가 failed 난 것을 확인. 'kubectl version --short' 쳐보니, 다음과 같이 "The connection to the server localhost:8080 was refused - did you specify the right host or port?"이 보인다. 해결 1. kubectl init 명령어 사용 후, 2.1. 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2QXmJ/btrUmhnhC1c/K9jrRRR9tM5U5SJpcDmx40/img.png)
이슈 kubernetes master 노드를 configuration 하는 중에, kubeadm init을 하니,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 에러는 2가지 였는데, 일단 첫번째 에러에 대해 resolve. 해결 1. Cpu 수를 2 이상으로 맞춰주거나, NumCPU에 대한 에러 사항을 무시한다. kubeadm init --ignore-preflight-errors=NumCPU 원인 마스터 노드를 초기화 하기 위해서는 Cpu 수가 2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Cpu 수가 1이기 때문에 해당 Error를 내뱉고 있는 것이다. 결과 다시 kubeadm init을 해보면, ERROR에서 WARNING으로 바뀌었다. 무시하는 방법을 썼기 때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D2N1/btrUncsppCx/wnbJJMWY9qqWZSp39FmVg1/img.png)
1. Kubernetes 사전 준비사항 (공통) - Worker 노드 개수 정책 설정. 용도에 맞게 Worker 노드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테스트 환경에서는 일단 master(Control-plane) 노드 1개와 worker 노드 1개로 설정하겠다. (why? 사용 가능한 VM 자원이 2대 뿐이다!ㅠㅠ) Reference: https://learnk8s.io/kubernetes-node-size Architecting Kubernetes clusters — choosing a worker node size When you create a Kubernetes cluster, one of the first questions that pops up is: "what type of worker nod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