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코테
- DART
- Python
- C++
- Algorithm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DFS와BFS
- 동적계획법
- 안드로이드
- 분할정복
- android
- BAEKJOON
- codingtest
- 동적계획법과최단거리역추적
- django
- 백준
- Vue
- cos pro
- Flutter
- cos
- 개발
- vuejs
- 파이썬
- 알고리즘
- AndroidStudio
- 코딩테스트
- 코드품앗이
- cos pro 1급
- DFS
- issue
- Today
- Total
목록Research (21)
Development Artis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D2N1/btrUncsppCx/wnbJJMWY9qqWZSp39FmVg1/img.png)
1. Kubernetes 사전 준비사항 (공통) - Worker 노드 개수 정책 설정. 용도에 맞게 Worker 노드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테스트 환경에서는 일단 master(Control-plane) 노드 1개와 worker 노드 1개로 설정하겠다. (why? 사용 가능한 VM 자원이 2대 뿐이다!ㅠㅠ) Reference: https://learnk8s.io/kubernetes-node-size Architecting Kubernetes clusters — choosing a worker node size When you create a Kubernetes cluster, one of the first questions that pops up is: "what type of worker nodes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H5I5r/btrT9G7fV0v/dqGvyNeyb92wVDiP98But1/img.png)
VM 하나를 올리고 Centos 7를 설치하였다. 일단 Docker를 다운받기 전 확인 사항이 있다. systemctl status firewalld getenforce selinux 보안 상태 체크 이제 여기에 Docker를 설치해보겠다. Docker docs에 Centos 설치 방법에 대해 자세히 가이드 하고 있다. https://docs.docker.com/engine/install/centos/ Install Docker Engine on CentOS docs.docker.com yum -y update Centos 7 iso를 이전에 다운 받아두었던 것을 사용했다. 혹여 레포 업데이트 사항이 있을 수 있다. yum -y install yum-utils yum-config-manager를 사용하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1pp6h/btrT81KAb8V/rkt0KJ5TDpwfWFA45dvyx0/img.png)
확장자는 그 파일의 특성이 무엇인지 쉽게 알아 보기 위해서 붙이는 것이지만, 바이너리 이진 파일에 .txt 확장자를 붙일수도 있는 것처럼 말그대로 이름일 뿐이다. 그래서 확장자 보다는 해당 파일의 실제 형식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pem PEM (Privacy Enhanced Mail)은 Base64 인코딩된 ASCII 텍스트 이다. 파일 구분 확장자로 .pem 을 주로 사용한다. 노트패드에서 열기/수정도 가능하다. 개인키, 서버인증서, 루트인증서, 체인인증서 및 SSL 발급 요청시 생성하는 CSR 등에 사용되는 포맷이며, 가장 광범위하고 거의 99% 대부분의 시스템에 호환되는 산업 표준 포맷이다. (대부분 텍스트 파일) .crt 거의 대부분 PEM 포맷이며, 주로 유닉스/리눅스 기반 시스템에서 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7lxtx/btrzo9XU0n9/a2vialUKzvRSJi9RtGV8C0/img.png)
데몬 종류 1. abrtd abrt(Automatic Bug Reporting Tool)는 RedHat 에서 제공하는 자동 버그 리포팅 툴이다 . 백그라운드 서비스 형태로 root 권한으로 기동된다 2. abrt-ccpp C/C++ 문제 관련 분석을 위한 abrt서비스 데몬 3. abrt-oops 커널 문제 관련 분석을 위한 abrt서비스 데몬 4. acpid 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 의 약자로 커널로부터 ACPI(전력 관리 규약)이벤트를 받아서 처리 5. amanda 서버/클라이언트 환경의 네트웍 백업 시스템 6. amd 자동마운트 서비스(automatically mount file system) 7. anacron 제 시간에 실행하지 못하고 남겨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adgI/btrzoPjEjB6/24SQnbCZZtHaoLJXfWpyC1/img.png)
디렉터리 구조 / - 최상위 디렉토리(루트 디렉토리) - 모든 디렉토리의 출발점 /bin -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토리 - mv, cp, rm 같은 기초적인 명령어들이 존재 - root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음 /boot - 리눅스 부트로더가 존재하는 디렉토리 /dev - 시스템 디바이스 파일을 저장 - 하드디스크 장치 파일, CD-ROM 장치파일과 같은 파일 저장 /etc -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과 부팅 관련 스크립트 파일들 저장 - /etc/sysconfig(시스템 제어판용 설정파일), /etc/pass /home - 사용자 계정들의 홈 디렉토리 - 일반 사용자가 로그인 시 처음으로 위치하게 되는 디렉토리 /lib - 공유 라이브러리 디렉토리 - 커널 모듈 파일들과 프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XJfg/btrzd9P6BT2/dkunDXJ1OzPiO23Zx7CKx1/img.png)
Aa alias : adduser :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명령어. apt-get : 인증된 소스로부터 패키지와 그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패키지의 설치, 업그레이드 및 제거를 위한 명령줄 인터페이스. - 구조 : apt-get [options] command - 비고 : 데비안 계열 ( ex. Ubuntu ) - 참고 : rpm, yum Bb banner : batch : Cc cal : cat : chmod : 파일의 모드를 변경하는 명령어 - 구조 : chmod [OPTION]... MODE[,MODE]... FILE... chmod [OPTION]... OCTAL-MODE FILE... chmod [OPTION]... --reference=RFILE FILE... - 사용예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v9Dg/btrzc9KwdG8/R7w1duVYCvyJD1MRdGz5y1/img.png)
Aa ACL : Access Control List ACM : AWS Certificate Manager ALB : Application Load Balancer(Balancing) AMI : Amazon Machine Image ARN : Amazon Resource Name ASG : (AWS) Auto Scaling Group Bb Cc CDN : Content Delivery Network CIDR :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사이더 CLI : Command-line interface CSE : Client-Side-Encryption CSN : Change Sequence Number - with : LDAP CSP : Cloud Solution Partner D..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Dkr8/btrzeZmBdUk/r9YFPynQfZVZMtxdjKAONk/img.png)
명령어 구조 동사-명사 -파라미터 값 예시 Get-NetAdapter : 연결된 네트워크 어댑터의 정보 얻기. $PSVersionTable : Powershell 버전 확인. Get-ExecutionPolicy : 스크립트 실행 정책 확인. Set-ExecutionPolicy -ExecutionPolicy RemoteSigned : 스크립트 실행 정책 '허용' 설정. Set-ExecutionPolicy -ExecutionPolicy Restricted : 스크립트 실행 정책 '제한' 설정. Get-Service : 서비스 목록 조회. ( Status, Name, DisplayName ) Get-Service -Name Sense : 이름 Sense인 서비스 조회. Get-Service -Name *a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RjzZ/btrx1HuVVv5/HXyZYUsabRebFKMmvIKMDK/img.png)
Intro CentOS 와 Ubuntu는 두 가지 주요 Linux 배포판 입니다. 핵심은 둘 다 Linux이지만 둘 사이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CentOS와 Ubuntu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배포판의 출처입니다. CentOS 는 RHEL(Red Hat Enterprise Linux)에서 제공됩니다. Ubuntu는 데비안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합니다. RHEL 기반 CentOS 편집자 주: 이 블로그에서 CentOS는 CentOS Stream이 아니라 CentOS Linux를 나타냅니다. 모든 Red Hat 브랜드가 제거되고 CentOS로 대체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RH 소프트웨어와 호환되며 RHEL에서 실행되는 모든 것은 CentOS에서 실행됩니다. Red Hat의 첫 번째 Linux 배포는 19..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uWzkv/btrvE4swBHz/Zv5yuHlstMC2wnI6SYVDl0/img.png)
Intro 2018년에 Cloud Native 에서 진행한 Landscape 프로젝트입니다. 오픈 소스,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권장되는 프로세스 안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각 단계에서 공급업체 지원 오퍼링을 선택하거나 직접 실행할 수 있으며, #3단계 이후의 모든 것은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CNCF에서 호스팅한 프로젝트들을 나열 하고 있습니다. ( 첫번째 채택 - 쿠버네티스, 두번째 채택 - Prometheus ... 16번째 채택 - Vitess 등등 ) Index 1. 컨테이너화 2. CI/CD (Continuos Intergration/ Continuous Development) 3. 오케스트레이션 4. 모니터링 / 분석 5. 서비스 디스커버리 6. 네트워킹 / 보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