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django
- 파이썬
- 개발
- 코딩테스트
- BAEKJOON
- DFS
- Python
- C++
- 분할정복
- 안드로이드
- 백준
- DFS와BFS
- AndroidStudio
- cos pro
- 코드품앗이
- 코테
- cos pro 1급
- 동적계획법
- 동적계획법과최단거리역추적
- codingtest
- android
- Algorithm
- cos
- Flutter
- 안드로이드스튜디오
- vuejs
- Vue
- issue
- 알고리즘
- DART
Archives
- Today
- Total
Development Artist
[Epic Device] #4. CODE 본문
728x90
반응형
Code
이번에 대기업과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개발전에 몇가지 사항들을 코드화 시켰던 것이 생각이 났다. 특별한 것은 없는데, 꾀 유용했던 것 같아서 이번에 한번 적용시켜 보려고 한다. 엑셀로 정리도 하고 DB에 code 테이블을 만들어 두고 관리를 했었었다.
코드의 구성요소는 Code,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ParentCode, CodeName 정도로 쓸 수 있다.
Code : Example
에픽세븐의 기사단전 컨텐츠가 있는데, 매일 열리는 것이 아니고 월, 수, 금 세번 열리게 된다. 월, 수, 금의 기사단전을 구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아래 그림은 전쟁과 관련된 테이블인데, '요일' column에 'GWDAY0010'과 같이 코드로 넣어둘 수 있게 된다. 또한, 시즌에는 'GWSSN0006'과 같이 넣을 수가 있게 된다.
그렇다면 왜 이런 작업을 하는 것일까? 어떤 면에서? 실제로 개발할 때 분기문의 조건에서 사용하던지, 또는 데이터를 생성할때 다음과 같이 코드로 넣어두면 작업이 훨씬 빠르고 가독성이 좋았었다.
또한, 협업 환경에서 모두가 같은 코드로 인식하고 개발을 하게 된다는 점이 나중에 다른 사람의 코드를 수정할 일이 있거나 보충할게 생기면 코드를 이해하는데 들이는 시간을 당길 수 있었다.
728x90
반응형
'Project_Person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ic Device] #6. 개발 스택 (0) | 2022.01.18 |
---|---|
[Epic Device] #5. Mockup (0) | 2022.01.14 |
[Epic Device] #3. ERD 설계 (0) | 2022.01.13 |
[Epic Device] #2. 기능 설계 (0) | 2022.01.13 |
[Epic Device] #1. 개요 (0) | 2022.01.13 |
Comments